비즈니스 전략의 기본 - SWOT 분석, STP 전략
본문 바로가기

브랜드마케터의 일/예비 마케터들을 위한

비즈니스 전략의 기본 - SWOT 분석, STP 전략

반응형

회사에서 새로운 제품을 내놓을 때 항상 하는 것이 있습니다.

바로 SWOT 분석, STP 전략입니다.

이 용어들은 마케터를 꿈꾸는 취준생이라면 무조건 알아야하는 마케팅의 기본 개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 용어들을 알아보고, 어떤 식으로 비즈니스 전략과 마케팅에서 활용되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회사에 신제품을 만든다면, 무조건 가격을 붙여 내놓으면 소비자들이 구매할까요?

아닙니다. 이 제품이 공략할 타겟층을 결정하고, 경쟁사와는 어떻게 다른 차별점을 가질 것인지, 어떤 채널에서 판매될 것인지 등에 대한 전략적 기획이 필요합니다.

 

STEP 1. SWOT 분석

SWOT 예시

SWOT은 Strength(강점), Weakness(약점), Opportunity(기회), Threat(위협요소)를 줄인 말입니다.

우리 회사 (제품)의 강점/약점은 무엇인지, 그리고 시장에서의 새로운 기회나 위협요소는 무엇인지를 먼저 파악합니다.

이렇게 구분해두면 강점을 살릴 방향과 약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안,

그리고 시장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향후 액션들을 보다 분명하게 정리할 수 있습니다.

SWOT 분석을 함으로써 좀 더 우리 회사 (제품)을 집중도있게 분석하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에 대해 모두가 합의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죠.

STEP 2. STP 전략

STP는 Segmentation (시장 세분화), Targeting (타겟 설정), Positioning (시장 포지셔닝)을 줄인 말입니다.

최근 소비자들의 취향과 니즈가 다양해지고 있으며 본인이 원하는 것에 대해 분명하게 요구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STP는 우리 제품이 다가가는 소비자의 범위를 더 좁히기 위한 작업 단계인데요.

더이상 매스 컨슈머에게 일방적으로 다가가서는 전혀 매력적으로 어필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Segmentation 시장 세분화>

다양한 고객이 존재하는 시장을 잘게 쪼개는 것입니다.

인구통계 (나이, 성별, 직업 등) / 지리학 (규모, 기후 등) / 행위 (사용 경험, 편익 등) / 라이프스타일 등을 기준으로 소비자 덩어리를 구분지어보는 단계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우리는 3040의 이제 막 신생아를 키우는 신혼부부가 많이 살고 생활 물가가 높지 않은 신도시를 목표 시장으로 선정할 수 있겠습니다. 

 

<Targeting 타겟 설정>

위에서 세분화 시킨 시장을 선택하고, 이제 어떤 고객층을 집중할지를 결정하는 단계입니다.

맞벌이를 해서 월 소득이 800만원 이상이 되는 부부를 타겟할지, 아니면 외벌이를 하는 부부를 타겟할지 등 타겟팅의 범주가 막연하거나 너무 넓지 않도록 명확하게 세분화한 타겟을 설정해야 합니다.

 

<Positioning 포지셔닝>

위에서 세부적인 타겟까지 설정했다면 이제 그들에게 어떤 이야기를 해줄까요?

시장에 있는 다양한 제품들 중에서도 우리의 제품을 선택하게끔 하는 특징을 고객들의 인식에 확실히 심어주어야 합니다.

우리가 경쟁사 대비 '이러한 우위적 포지션에 있다'는 것을 소비자 머릿속에 심어주는 것이죠.

이러한 명확한 포지셔닝은 앞으로 있을 신제품 관련 마케팅 활동들도 명확하게 플래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세분화 전략인 SWOT 분석과 STP 전략을 통해, 무작정 아무에게나 다가가는 것이 아니라 효율적으로 더욱 올바른 소비자들을 타겟팅하여 효과적인 마케팅 활동을 할 수 있게 됩니다.

마케팅 전략과 비즈니스의 기본, 오늘 꼭 이 용어들에 대해 잘 이해하고 기억하셨으면 합니다!

반응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