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랜드 광고 모델 선정은 어떻게 할까?
본문 바로가기

브랜드마케터의 일/브랜드 마케팅, 디지털 마케팅

브랜드 광고 모델 선정은 어떻게 할까?

반응형

브랜드가 신제품을 출시할 때, 가장 고심하고 오래 걸리는 단계 중 하나가 바로 TV CF 모델 선정입니다.

브랜드가 소비자에게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는 가장 빠르고 효과적인 수단이 TV 광고이기 때문입니다.

같은 제품을 들고 있더라도 이민정이 들고 있으면 엘레강스, 이효리가 들고 있으면 섹시한 이미지가 느껴지는 것처럼요.

이민정 화장품 CF (출처 - TVCF)

 

이효리 화장품 CF (출처 - TVCF)

1> 마케팅 전략 수립

:우선은 신제품의 마케팅 전략을 먼저 수립합니다.

타겟은 누가될 것인지 성별, 나이, 특이사항 등을 결정하고 어떤 식으로 소비자에게 접근할 것인지에 대한 굵직한 방향을 먼저 정립합니다.

그 후에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시작됩니다.

 

2> 에이전시 RFP 공유 

: RFP란 Request for Proposal의 약자로, 한마디로 "제안 요청서"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위에서 수립한 신제품 마케팅 전략을 에이전시에 안내해주면서, 회사에서 원하는 방향과 원하는 목표/결과를 공유합니다.

이때 TVCF 제작 에이전시와 모델 에이전시를 구분하여 미팅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다면 TVCF 제작 에이전시에게 RFP 를 안내하면 에이전시가 알아서 여러 모델 에이전시에 컨택하여 함께 섭외 과정을 거치기도 합니다.

RFP에 대해 에이전시가 자료를 준비할 기간을 협의하여 다음 미팅 날짜를 잡습니다.

 

3> 에이전시 피치 (Pitch)

사람들이 많은 회의실

이전에 브랜드, 즉 광고주가 공유한 RFP에 따른 스토리 보드 시안을 에이전시가 협의한 미팅 날짜에 옵션 2~3가지 정도를 마련하여 옵니다.

브랜드에서는 해당 옵션들을 보며 내부에서 옵션안에 대한 논의 및 비딩을 통해 에이전시 선정 및 스토리보드 선정을 진행합니다. 이때 함께 제안한 모델들도 고려하게 됩니다.

요즘에는 에이전시 비딩에 참여했으나 선정되지 않은 경우, 비딩 Fee 혹은 기획료를 드립니다.

 

 

4> 세부 콘티 디벨롭

선정된 스토리보드의 흐름에서 이제 더 세부적인 디테일을 잡으며 세부 콘티를 디벨롭합니다.

스토리보드와 콘티의 차이점이 여기서 나타나는데, 세부 콘티에서는 카메라 앵글이나 효과, 사운드나 등장 방식 등의 연출 디테일까지 추가됩니다.

이 과정에서는 에이전시의 기획자 AE 뿐만 아니라 촬영 감독팀과 소품팀 등 더 대규모의 인력이 붙게 됩니다.

아무래도 디테일을 잡는 과정이기에 수정사항이 자주 왔다 갔다 할 수 밖에 없으며

임원진에 보고 시 각 개인의 주관적인 의견들로 인한 변경 사항이 발생합니다.

우리가 선정한 모델이 이러한 광고 CF 이미지와 컨셉에 적합한지 등을 최종 검토하며 완성도를 높입니다.

 

5> PPM (Pre Production Meeting) 진행

이제 확정된 콘티 기반으로 실제 촬영에 들어가기 전, 사전 제작 미팅인 PPM을 진행합니다.

모두가 동일하게 이해하고 있는지, 다른 우려사항 등은 없는지 다 같이 모여 촬영지나 모델 의상 등 모든 것을 확정 짓고 검토하는 자리입니다.

이렇게 확인되고 플랜한 대로, 이제 실제 촬영일에는 스탭들과 브랜드 실무진들이 발로 뛰고 구현하게 됩니다.

 

6> 촬영

광고 촬영, 카메라와 카메라 맨

드디어 촬영일이 되면 현장에서 발생하는 예상치 못한 돌발 상황에 대처하고,

실제 구현 시 발생되는 애로사항이나 즉석에서 다른 것으로 바뀌거나 하는 사항들이 많기 때문에

브랜드에서도 의사결정권이 있는 팀장도 현장에 와서 돌아가는 상황을 보는 것이 좋습니다.

광고 모델 에이전시에서는 매니저 등이 동원되어 현장에서 모델이 불편한 점은 없는지, 장점이 잘 부각되어 나오는지 등을 지켜보고 이것저것 요청하기도 합니다.

이런 저런 이유로 촬영 당일에는 유연한 대처 능력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이렇게 결과물이 나왔을 때, 우리 신제품과 모델이 찰떡궁합처럼 지향하는 이미지가 잘 들어맞을 때,

소비자도 매우 긍정적으로 반응하고 머릿속에 인식됩니다.


간단하게 TVCF 모델 선정과 촬영을 구현하는 프로세스를 정리해보았습니다.

글을 읽어보시면서 전체적인 흐름이 잘 이해가셨기를 바랍니다.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을 남겨주세요~!

반응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