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마다 브랜드 마케팅 직무는 Product별로 구분하는 곳이 있고, Functional로 구분하는 곳이 있어요.
제가 다니고 있는 외국계 회사를 기준으로 설명 드릴게요.
Product별 구분이란, 각 담당자들이 제품 카테고리별로 매니저가 되어 자신이 담당한 제품의 출시 전략 기획부터 디자인, 런칭 이벤트, 소비자 커뮤니케이션 등을 모두 플랜하고 콘트롤하는 거예요.
반면 Functional이란 제품으로 구분하지 않고 마케팅 기능적으로 구분하는 거예요. 일반적으로는 브랜드 마케팅팀 안에서는 디지털 마케팅, 이커머스 마케팅 (CRM 마케팅) , 트레이드 마케팅, PR 홍보 정도로 마케팅 직무가 구분되어요.
즉 제품이 무엇이든 간에 마케팅 활동이 이루어지는 영역에 따라 디지털 마케팅/이커머스 마케팅/트레이드 마케팅/PR 담당자가 해당 분야에서 이뤄지는 마케팅 활동들을 플래닝하고 액션을 합니다.
Product별은 기업마다 출시하는 제품이 너무 다르므로, 오늘은 Functional로 각 마케팅 직무를 정리해볼까요?
디지털 마케팅
요즘 가장 중요해진 마케팅 직무입니다. 왜냐하면 모든 커뮤니케이션이 디지털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죠.
어떤 신제품이 출시하든 브랜드가 이벤트를 하든 모든 브랜드 소식은 디지털을 통해 소비자에게 알려지고 있습니다.
디지털 마케터는 크게 두 가지를 한다고 보시면 되는데요,
1>브랜드 계정의 소셜 미디어 (인스타그램, 유튜브, 카카오, 페이스북, 틱톡 등)를 관리하면서 소비자와 다이렉트로 소통하고, 여기에 쓰이는 이미지나 영상 등의 콘텐츠까지도 기획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회사 규모에 따라 콘텐츠 마케터가 따로 있을 수도 있구요.
2>브랜드의 디지털 광고를 담당합니다. 신제품 출시나 브랜드 행사를 알리는 카피와 배너 시안을 제작하고, 각 광고 플랫폼 특성에 맞게 배리에이션을 합니다. 회사 규모에 따라 카피라이터가 따로 있을 수 있습니다.
또 단순히 디지털 광고 이미지만 제작하는 것이 아니라, 내용에 따라 어떤 디지털 플랫폼에 노출을 하고 어떤 타겟을 설정해야 광고가 가장 효과적이고 효율적일 수 있을지에 대한 광고 플래닝까지 더해집니다.
이커머스 마케팅 (CRM 마케팅)
이커머스도 요즘 핫한 마케팅이죠. 소비자에게 신제품 등을 알리는 마케팅 역할을 하면서도 해당 홈페이지에서 매출까지 일으키는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거든요.
주로 브랜드 공식 홈페이지가 기본 플랫폼이 되지만, 제휴를 통해 네이버 라이브 쇼핑이나 쿠팡/티몬과 같은 오픈 마켓까지 더해져 그 영역은 점점 방대해질 예정이에요.
브랜드 공식 홈페이지는 브랜드의 얼굴인만큼 우리 신제품이 어떻게 보여지는지, 그에 대한 정보는 얼마나 신뢰도 있게 전달되는지 등 고려할 사항이 매우 다양해요.
이 때문에 이커머스 마케터에는 홈페이지에서 보여지는 콘텐츠와 구성을 담당하는 사람, 판매 제품의 재고와 판매 추이를 책임지는 사람, 그리고 UI/UX 개발자 역할로 크게 구성되고 있어요.
트레이드 마케팅
조금 생소한 용어일 수 있지만 쉽게는 리테일 마케팅의 좀 더 광범위한 의미라고 봐주시면 됩니다.
브랜드 제품을 판매하는 매장들이 고객사라고 한다면, 이러한 고객사들에게 자사 제품을 어떻게 매장에서 연출하고 판촉 행사를 할 것인지를 담당하는 사람이에요.
그래서 위의 디지털 마케팅이나 이커머스 마케팅과 달리, 개개인의 고객과 상대하기 보다는 고객사를 대상으로 B2B 응대와 접근을 주로 해요. 아무래도 매장에서 이뤄지는 마케팅 활동을 담당하다보니, VMD의 역할까지 겸비할 필요가 있어요.
어떻게 우리 제품이 매장에서 돋보일 수 있을지에 대한 역할도 아주 크거든요!
PR 홍보
그래도 가장 많이 들어본 용어이기에 어떤 일을 하는지 알 거예요. 브랜드 대표로 뉴스/잡지와 같은 미디어와 기자를 상대하는 역할을 해요. 신제품이 나오면 이를 적절한 시기에 미리 노출시켜 소비자의 관심과 주목도를 높이고, 평소에도 브랜드에 나쁜 언론이 나오지 않도록 관리하고 지속적으로 기사나 잡지 화보가 나올 수 있도록 하는 담당을 해요.
아무래도 우리나라의 뉴스/잡지 미디어가 한정적이기에, 이러한 기자분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지속적이고 주기적인 만남이 있어야 우리 브랜드에 대해 미디어에서 얘기를 해 주겠죠?
사람을 상대하는 것이 어렵지 않은 사람일수록 이 일에 특화될 수 있어요.
마케팅 직무가 워낙 다양하지만, 우선 대표적으로 구분지어 각 역할과 특징을 정리해보았어요.
이 글을 보시면서 나는 어떤 일이 더 맞겠다 하는 가닥이 잡히셨길 바랍니다.
다른 글에서 각 직무를 좀 더 자세히 알아볼 수 있도록 해볼게요!
'브랜드마케터의 일 > 예비 마케터들을 위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상에서 마케팅 인사이트 얻는 습관 들이기 5가지 (0) | 2023.07.24 |
---|---|
디지털마케터 하루 업무 루틴 공개 (feat. 외국계 회사 마케팅) (0) | 2023.07.15 |
디지털 마케터가 되고 싶은 취준생이 갖춰야할 역량 (1) | 2023.07.12 |
퍼포먼스 마케팅 vs 브랜드 마케팅 하는 일과 차이점 (1) | 2023.07.04 |
인하우스 마케터 vs 마케팅 대행사 마케터 하는 일과 차이점 (0) | 2023.07.02 |